본문 바로가기
교육 전반/독서기록

미래교육 인사이트 - 윤성혜, 장지은, 임현진, 임지영

by 종석쌤★ 2021. 12. 6.
728x90

내일을 만들기 위해, 오늘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미래교육 인사이트』는 네 명의 교육공학자들이 전하는 새로운 교육 이야기이자, 우리의 교육 이야기이다. 예측되지 않는 불안한 미래에 대한 대비책으로 많은 이들이 ‘교육’을 말하지만, “도대체 미래교육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이러한 시점에, 차세대 교육공학자로서 연구와 현장을 넘나들고 있는 저자들은 팟캐스트 [미래교육 인사이트]에 담았던 이야기를 통해 최신의 교육 이론과 현장을 잇는 ‘진짜 미래교육’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시한다. 이 책은 과거와는 너무 다른 혁신적 테크놀로지에 기반한 새로운 교육 방법을 다루고, ‘새로운’ 교육 안에 담긴 교육의 본질과 핵심 가치를 전한다.


*역량

1) KSK: K(지식: Knowledge), S(기술: Skills), A(태도: Attitudes)를 아우르는 개념

2) HRD용어사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재적인 특성

3) 2015개정교육과정: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심리적 감성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

4) 6Cs: 기존의 4Cs인 협력(Collaboration), 의사소통(Communication), 창의성(Creativity),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 자신감(Confidence), 콘텐츠(Contents) -> 6Cs, 창의성은 창의적 혁신(Creative innovation)으로

 

 

 

모범생처럼 인생을 살아왔던 사람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들을 버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까지 성실하게 공부해서 좋은 점수를 받아 좋은 대학에 온 학생들에게 오히려 실패를 두려워하는 성향이 더 많은 것 같기도 해요. 역동적으로 바뀌고 있는 이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자신감, 실패해도 괜찮다는 생각,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이런 생각들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33P, 윤성혜)

*평가 방법에 대한 고민? 수능-> 공정성을 강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들을 평가할 수 있는가?(37p)

: 이 문제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그렇다면 역량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그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학생이나 학부모의 인정을 얻을 수 있을까? 교사에게 평가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시킴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평가 권한 부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사들에게 평가 결과에 대한 학생, 학부모의 민원, 불만을 막을 수 있는 장치도 주지 않으면서 무작정 과정중심평가, 수행평가를 강조하는 것은 교사들에게 너무 가혹하다.

 

*메타인지: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함으로써 학습의 전 과정을 계획하고, 점검하고, 조절하는 것

 

*플립러닝의 특성 FLIP(Flipped Learning Network, 2014, Bergmann)

- Flexible environment(유연한 환경)

- Learning culture(학습문화)

- Intentional contents(의도된 컨텐츠)

- Professional educator(전문 교육자)

 

* 기업가정신의 요소

 - 성취욕구

 - 자기효능감

 - 자기통제능력

 - 위험감수성

 - 창의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