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전반/수업스킬풀어내기

이야기 거미줄

by 종석쌤★ 2021. 6. 22.
728x90

 

교과서나 그림책 속 재미있는 이야기들.

그런데 읽고 나서 내용을 전혀 기억 못하는 멍~한 아이들도 있지요?

이야기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이런 일이 더 자주 있는데요.

 

책 속 이야기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고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야기 거미줄

책 속 삽화를 이야기의 흐름대로 붙인 뒤

간단한 메모를 통해 이야기의 내용을 정리하는 방법


먼저 교과서 속 삽화를 A4용지에 인쇄한 다음,

모둠별로 삽화에 대해 이야기를 떠올려 보도록 해요.

삽화를 통해서 이야기를 더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이후, 모둠원들과 함께 이야기 순서대로 삽화를 정리해 봅니다.

2학년 국어(피노키오)

 

 

정리 한 다음에는 모둠 친구들과 돌아가며 이야기를 순서대로 말해봐요.

모둠별 정리가 끝나면 학생 발표를 통해 삽화를 칠판에 순서대로 붙여봅니다.

삽화를 순서대로 정리하고 이야기의 줄거리를 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게 됩니다.


바로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삽화를 한 장씩 보며 이야기를 나누면 좋아요.

이야기가 잘 떠오르지 않는 친구들은

책을 찾아 보거나

삽화에서 보이는 그대로를 말하도록 해도 괜찮아요.

 

2학년 국어(신발 신은 강아지)
2학년 국어(종이 봉지 공주)

 

삽화를 순서대로 정리하고 난 뒤 수업 목표나 활동에 따라서

상황에 따른 인물의 마음 변화, 간단한 줄거리, 등장인물 등을 적어 두면

이야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이렇게 정리하니 아이들이 "선생님! 삽화에 거미줄이 생긴 것 같아요!"라고 이야기해서

이야기 거미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야기 거미줄은 씽킹 맵(Thinking Map)의 8가지 형태 중

플로우맵(flow map)을 활용하였습니다.

출처:  https://www.cusd80.com/Page/12159

 

 

플로우 맵(Flow map)

출처: 교육부 Blog 'Thinking Maps를 활용한 수업, 어렵지 않아요.'

플로우 맵은 순서를 정해서 일정한 규칙과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기법으로 학습의 계열, 순서, 단계, 방향성을 타나내는 것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는 활동에 유용하다. 이 맵은 순서도나 흐름도와 다르게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세부 단계를 나타냄으로써 사고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야기 거미줄

글의 흐름과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정리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