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학습/2학년 프로젝트

[2학년 프로젝트] 나는야 우리 동네 지킴이! (1) -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by 종석쌤★ 2020. 10. 13.
728x90
  •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설문지(프로젝트의 시작).hwp
0.01MB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과 상황 속에서 선택, 조정,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창의ㆍ융합형 인재를 기르고자 한다. 이러한 미래 인재가 되기 위한 아이들의 배움은 어디에서 시작해야 하는가? 아이들의 삶의 터전인 동네가 배움의 시작점이 된다면 어떨까? 매일 반복되는 삶 속에 변화가 없는 동네지만 배움이 결합되는 순간 동네는 배움의 놀이터로 거듭날 것이다. 먼저, 아이들과 함께 우리 동네와 사람들의 모습, 하는 일, 더 나아가 그들의 마음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생겨난 다양한 궁금증과 호기심을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프로젝트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동네’를 주제로 아이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우리 동네를 사랑하고 더불어 살아가려는 공동체 역량을 중점적으로 길러주고자 한다.

출처: pixapay

이후 아이들과 우리 동네에서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에 대해 생각을 나누어 보았다. 미술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우리 동네 모습 그리기나 만들기에 관심을 보였고, 활동적인 아이들은 동네를 직접 돌아다녀 보자거나 동네 관련 놀이를 해보고 싶다고 하였다. 사교적인 아이들은 동네 사람 인터뷰나 동네 소개하기를 하고 싶다고도 하였다. 또, 우리 동네 말고 다른 동네도 궁금하다며 동네 관련된 책을 함께 읽어 보고 싶다는 아이들도 있었다.

 

아이들과 생각을 나눈 후 2학년 교육과정을 살펴보니 일의 소중함 알기, 동네 모습 관찰 및 표현하기, 직업 조사해서 발표하기 등의 성취기준이 눈에 띄었다. 이를 국어의 문학 성취기준과 융합하여, 그림책을 통해 동네에서 볼 수 있음직한 여러 인물들을 만나보고 다양한 생각들을 나누어본다면 더욱 풍성하게 우리 동네 프로젝트를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출처: pixapay

시대가 변함에 따라 우리 마을, 이웃이라는 개념이 점점 흐려지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 그래서 더불어 살아가는 보다 따뜻한 동네를 만들어 가기 위해 아이들은 협력, 배려, 소통의 공동체 역량을 더욱 필요로 한다. 아이들은 이 프로젝트가 끝나면 우리 동네를, 우리 동네 사람들을 어떤 마음으로 바라보게 될 것인가? 본 프로젝트를 통해 성장해 있을 아이들의 모습을 기대한다.

 

출처: pixapay

 

[2학년 프로젝트] 나는야 우리 동네 지킴이! (2) - 학생 설문 결과 분석

학생 설문 결과 분석 프로젝트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프로젝트를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연계하여 진행하기 위해 국어학습관련실태도 함께 확인하였다. 내가 살

pjskorea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