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학습/2학년 프로젝트

[2학년 프로젝트] 나는야 우리 동네 지킴이! (2) - 학생 설문 결과 분석

by 종석쌤★ 2020. 10. 14.
728x90
  • 학생 설문 결과 분석

프로젝트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프로젝트를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연계하여 진행하기 위해 국어학습관련실태도 함께 확인하였다.

설문지(프로젝트의 시작).hwp
0.01MB
프로젝트 설문 결과 정리

  • 내가 살고 싶은 우리 동네는 어떤 모습인가요?

사랑하고 배려하는, 서로 돕는 등 이웃들의 아름다운 모습에 대해 이야기한 학생들은 38%뿐이었고, 그마저도 막연히 행복한 동네에 살고 싶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대부분은 좋은 시설, 깨끗한 환경 등 외적인 부분만을 선호하였다동네 이웃들과 협력하고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모습이 담긴 그림책, 동영상, 신문 자료 등을 활용하여 더불어 살아가려는 공동체 역량을 길러주도록 해야겠다.

출처: pixapay

  • 모두가 행복한 우리 동네를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61%가 쓰레기 버리지 않기, 청소하기 등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 배려하기, 양보하기, 인사하기 등에 대해서는 38%정도의 학생만이 답하였다. 행복했던 동네 경험 나누기, 나를 행복하게 해준 이웃을 소개하기, 마을 주민 인터뷰 활동 등을 통해 행복한 우리 동네를 위해 가져야 할 마음가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해야겠다.

 

  • 인물의 마음을 짐작하며 이야기를 감상하는가?

92%가 이야기를 읽을 때, 인물의 마음을 짐작하며 읽는다고 답하였다. 그 중 7명은 마음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하지만 2명의 학생은 인물의 마음에 대해서 짐작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1학기 때 실시했던 마음 탐험대 프로젝트 연계하여 마음 딱지 대화, 몸으로 말해요, 꼬투리 질문, 꼬마 기자 놀이 등으로 인물의 마음을 짐작하고 표현하는 즐거움 느끼도록 지도해야겠다.

출처: pixapay

  • 이야기를 읽고 인물의 마음을 짐작할 수 있는가?

76%의 학생들은 이야기를 읽고 인물의 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 중 3명은 인물의 마음을 짐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 짐작한 마음에 대한 이유도 설명하였다.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마음을 짐작할 수 있음을 지도하고, 이야기와 관련된 경험 나누기 등 협력적 언어활동을 계획하여 사고를 확장하도록 한다.

 

 

 

[2학년 프로젝트] 나는야 우리 동네 지킴이! (3) -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및 재구성 방향 설정

융합 교과: 국어, 통합교과(바른 생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수학 융합 주제 : 사랑하는 우리 동네 국어 1단원 '장면을 떠올리며' - 성취 기준 - ▪[2국05-02] 인물의 모습, 행동, 마음을 상상

pjskorea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