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전반/독서기록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 힐베르트 마이어

by 종석쌤★ 2020. 10. 17.
728x90

  • 좋은 수업에 대한 4가지 질문: 누구에게 좋은 것인가?(모든 학생에게) 어떤 교과를 위해서 좋은가?(모든 교과에서) 어떤 목표를 위해서 좋은가?(인지적,정서적,사회적 학습) 무엇을 위해서 좋은가?(28~29p)
  • 좋은 수업: 민주적인 수업 문화의 틀 아래서 교육 본연의 과제에 기초하여 성공적인 학습 동맹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의미의 생성을 지향하면서 모든 학생의 능력의 계속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수업(30p)
  • 수업에 대한 책임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공동으로 가진다. 학생도 교사가 수업에 성공하도록 하는 책임을 지닌다(31p)
  • 좋은 수업의 10가지 특징(36~37p)
  1. 수업의 명료한 구조화(과정, 목적, 내용의 명료성; 역할의 명료성, 규칙에 대한 합의, 의례와 자유 공간)
  2. 학습 몰두 시간의 높은 비율(훌륭한 시간 경영과 시간 엄수; 수업의 조직화에 드는 시간의 절약; 일과 편성의 리듬화 등을 통해서)
  3. 학습 촉진적인 분위기(상호 존경, 규칙의 준서, 책임 부여, 공정성과 배려를 통해서)
  4. 내용적인 명료성(납득할 수 있는 과제 설정, 주제적 전개 과정의 합당성, 수업 결과의 명료하고 구속력 있는 정리를 통해서)
  5. 의미 생성적 의사소통(계획 단계에서의 학생 참여, 토론 문화, 의미 회담, 일일 학습장 작성과 학생과의 피드백을 통해서)
  6. 방법의 다양성(풍부한 연출 기법; 행동 방식의 다양성; 수업 진행 형식의 변용, 방법적 기본 형식들 간의 균형)
  7. 개별적인 촉진(자유 공간, 참을성과 시간을 통해서; 내적인 차별화와 통합을 통해서; 개별적인 학습 상태 분석과 상호 조율된 촉진 계획들을 통해서; 고위험군에 속한 학생들에 대한 특별한 촉진)
  8. 지능적 연습(학습 전략을 스스로에게 의식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연습 과제, 목적 지향적인 지원과 "연습을 장려하는" 틍을 통하여)
  9. 분명한 성취 기대(교과 과정이나 교육 기준에 맞는, 그리고 학생의 성취 능력에 합당한 학습 내용의 제시 그리고 학업 진보에 대한 계속적이고 촉진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10. 준비된 환경(질서정연함, 기능적인 실내 배치와 학습 도구의 완비를 통해서)

 

반응형

댓글